google-site-verification=ayc3Hl3GqjO6hB6Pz3r0EW48JGwL0o_74Ic62_A7-Hs google-site-verification=mR1srblIx6wYwhTtl_jfazPjMriB-DO0iaMWb1BmXuc google-site-verification=mR1srblIx6wYwhTtl_jfazPjMriB-DO0iaMWb1BmXuc 웰다잉,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웰다잉,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728x90
반응형

'웰다잉' 좋은죽음이란 무엇일까.


인간은 누구나 죽습니다.

누구나 한번 쯤은 죽음에 대하여 고민한 적이 많을 겁니다.


우리나라 노인 10명 중 9명은 가족이나 지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고통이 없고, 스스로 정리할 수 있으며, 가족과 함께 임종을 맞이하는 죽음을 '좋은 죽음'(웰다잉)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무의미한 연명의료도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에 대한 이 같은 인식은 보건복지부가 7일 발표한 '2020 노인실태조사' 결과에서 확인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해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활동, 생활 환경,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노인 1만97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좋은 죽음이 무엇일까요?

'좋은 죽음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0.6%(이하 복수응답)가 '가족이나 지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죽음'이라고 답변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신체적·정신적 고통없는 죽음'(90.5%), '스스로 정리하는 임종'(89.0%), '가족과 함께 임종을 맞이하는 것'(86.9%) 등의 순이었습니다.


또 노인의 85.6%는 무의미한 연명의료에도 반대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 결정 의사를 사전에 직접 밝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등의 실천율은 4.7%에 불과해 고령층을 대상으로 제도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향후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가 되었을 때를 대비해 치료 효과 없이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시도하는 심폐소생술 등 연명의료에 관한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것으로,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86만640명이 등록을 마쳤다.

'죽음을 준비하느냐'는 질문에는 79.6%가 수의, 묘지, 상조회 가입 등으로 장례 준비를 한다고 밝혔습니다.

자기 결정권과 관련된 준비는 27.4%만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유서 작성 4.2%, 상속처리 논의 12.4%, 사전연명의료의향서 4.7%, 장기기증서약 3.4% 등이었습니다.

희망하는 장례 방법에 대해서는 화장(67.8%)이 매장(11.6%)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답변은 20.6%였습니다.





마치며 죽음을 기준으로 핫  조사 대상 노인의 74.1%는 노인의 연령기준을 최소 '70세 이상'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69세 이하'라는 응답은 25.9%였고, 나머지는 '70∼74세 이상' 52.7%, '75∼79세 이상'14.9%, '80세 이상' 6.5% 등이었습니다.


#웰다잉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