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돌토돌 왜 자꾸 날까?
깨끗하던 얼굴에 작은 돌기들이 오돌토돌 일어나 고민인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특히나 좁쌀 같은 알갱이가 눈가나 볼 주변에 생기면 거울을 볼 때마다 짜증 나고 신경이 쓰일 것입니다. 화장으로도 가려지지 않아 말썽입니다. 작은 좁쌀처럼 나타나는 것은 한관종, 비립종, 편평 사마귀, 피지샘 증식증이 대표적입니다. 모양이 비슷해 일반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다. 하지만 이들은 유사(類似)하지만 상이(相異)한 증상입니다. 최근 집콕, 재택근무가 늘어나며 평소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이들 피부 문제들이 눈에 거슬리고 가뜩이나 우울한 마음을 더욱 불편하게 만듭니다.
한관종은, 주로 눈 밑에 오돌토돌
주로 눈가 주위에 오돌토돌 좁쌀 같은 것이 보이면 우선 한관종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한관종이란 땀이 나오는 통로에 생기는 일종의 종양이라고 불립니다. 주로 살색을 띠는 1mm 미만의 작은 돌기로 30~40대 여성들의 눈가 주위에 많으며 뺨이나 이마에 생기기도 합니다. 마치 개구리알처럼 알갱이가 들어있는 것 같이 몇몇에서 수십 개까지 여러 개(다발성)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관종은 진피층 땀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뿌리가 깊으며, 한번 생기면 저절로 없어지지 않아 치료가 까다로운 대표적 난치성 피부질환입니다. 손으로 함부로 짜거나 바늘로 터뜨리는 시도는 흉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합니다.
비립종이란 좁쌀여드름과 비슷하다
비립종은 직경1~2mm로 둥글며 눈 아래에서 잘 발생합니다. 비립종은 흰색 알갱이가 들어가 있는 모양입니다. 주로 좁쌀 종이라고도 불립니다. 건들면 '톡' 나올 것 같지만, 짜서 나오지 않고 구멍을 열어야 튀어 나옵니다. 성인은 치료를 하지 않으면 없어지지 않는 낭종(주머니 모양의 종양)이어서 생길 때마다 치료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피지샘 증식증이란? 과도하게 증식
피지샘 증식증이란 주로 40대 이후 중노년층의 이마에 많습니다. 진피층의 피지선이 노화에 의해 커지고 과도하게 증식하여 2~6mm 정도 크기로 모공 주위가 볼록하게 뛰어나오는 증상입니다. 속은 기름 덩어리로 채워져 있으며 심한 지성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서 특히나 많습니다. 특징적으로 노란색을 띠며 중심부가 배꼽 모양의 분화구처럼 함몰되어 있습니다.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가 점차 얼굴 전체를 덮을 정도로 많이 심해진 뒤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습니다.
편평 사마귀, 바이러스가 원인, 전염될 수 있어
편평 사마귀는 둥글게 나타나는 다른 돌기들과는 달리 표면이 칼로 자른 듯이 납작(평편)합니다. 다른 신체 부위로 퍼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로 20~30대 여성에게도 많이 나타납니다. 초기에 피부과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진단 후 치료를 해야 합니다. 가족 간 전염될 수 있어 수건이나 세안 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매끈하게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관종, 비립종, 피지샘 증식증, 편평 사마귀 등 얼굴에 발생하는 좁쌀 증상은 미용적인 고민과 문제를 야기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어떻게 매끈하게 치료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진피층부터 발생하는 한관종은 깊이가 깊어 레이저 치료를 여러 차례 할 수 있고, 심한 경우 부분적인 화학박피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립종은 피부 얕은 곳에 위치하는 각화 낭종으로 치료 시 마취가 필요 없으며 회복기간도 따로 필요 없습니다. 피지샘 증식증은 피부 진피층에 위치하여 이를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흉터가 생길 수 있어 크기를 줄이는 정도로 치료하게 되며 재발 시 반복 치료가 필요합니다.
편평 사마귀는 레이저, 냉동치료, 면역요법 등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회복기간이 3~7일 사이로 짧은 편이지만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치료 후 재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질환의 특성상 치료가 빠를수록 효과적이고 치료 범위가 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장 병원에 가야 할 증상 5 (0) | 2020.12.28 |
---|---|
귤 안전하게 먹으려면? (0) | 2020.12.27 |
3대 건강 조건 (0) | 2020.12.25 |
지저분한 귀지 파야할까? (0) | 2020.12.24 |
스타벅스 라떼 한잔 설탕 하루 권장량 넘는다.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