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ayc3Hl3GqjO6hB6Pz3r0EW48JGwL0o_74Ic62_A7-Hs google-site-verification=mR1srblIx6wYwhTtl_jfazPjMriB-DO0iaMWb1BmXuc google-site-verification=mR1srblIx6wYwhTtl_jfazPjMriB-DO0iaMWb1BmXuc 인플루언서가 뭐야/키워드경쟁 싫어요(feat.법인이라면 인정)
본문 바로가기

IT/블로그

인플루언서가 뭐야/키워드경쟁 싫어요(feat.법인이라면 인정)

728x90
반응형

 

인플루언서가 뭐야

1. 인플루언서 키워드 경쟁이 시작되었다. 


너도 나도 일반인이 인플루언서가 되는 시대가 왔다.
인플루언서네트워크 상에서 영향력있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다양한 주제의 인플루언서가 있다. 인플루언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여행 패션 뷰티 푸드 IT테크 자동차 리빙 육아 등이 있다.



인플루언서의 장점 마케팅 상권도 살려주고 리뷰도 진정성 있게 작성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플루언서의 단점 관심 분야의 전문 창작자를 만나는 곳이라지만 전문 창작자라고 하기엔 미흡하다.

인플루언서를 비꼬자면, 이들은 한 분야의 특출난 '오타쿠'가 아닐까?

괜히, 영어로 "인플루언서"라고 이야기 하지만 어찌되었던 간에, 인플루언서도 결국은 한 분야를 전문적으로 파고드는 건 맞잖아, 그러면 인플루언서도 오타쿠랑 차원이 뭐가 달라.


네이버는 인플루언서들이 타플랫폼으로 떠나는 것을 막기위해 이 제도를 시행했다.
선한 영향력으로 2021년도 쯤에 인플루언서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어느 샌가 안 좋은 영향력이 실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지금은 어느정도 진정화가 된 상태로 보인다. 내가 느꼈던 인플루언서의 악영향은 무엇일까 팩폭으로 조져버려! 


2. 인플루언서의 악영향

 

 


1.순위권경쟁/키워드 경쟁이 시작되었다

실제 네이버는 이런 사람들은 우선권 밀어주고 있음 인플루언서라고...


서로간의 블로그 활성화를 위해 키워드 챌린지가 쏟아져 나왔다.

여행이면 여행 일본어면 일본어 각종 무분별한 글들 다양한 글이 뿜어졌다. 자기 글이 상위권 노출이 되기 위해 참 핵심 키워드를 달고 해시태그를 여러개 쓰기 시작했다.

 

"네이버 블로그의 운영진 목표는 계획대로였다"

사람들은 인플루언서가 되기 위해서 이상한 전문성 없는 글이 막 쏟아져 나왔다 이제, 키워드 경쟁이 시작되고 서로가 서로를 의심한다. 잘 쓴 글도 신고를 한다. 

 

2. 너도 나도 인플루언서가 되었다. 타이틀 딱히 의미없어보인다

예전에는 인플루언서 희귀성 있어보였다. 점점 인플루언서가 되는 사람이 많아지니까 인플루언서라는 타이틀이 딱히 의미 없어 보였다. 

주목해야할 부분은  예전에는, 진짜 심각했다. 이미 이웃 수를 늘리는 마케팅 업체는 이웃을 사고 남았다. 
이웃 수 많으면 장땡, 글도 질적인거 안 따졌다... 이웃도 모르는 이웃들인데 .. 저 숫자가 정말 중요할까?

카카오톡 친구 숫자도 중요하지 않는 마당에 무분별하게 이웃 늘리는게 정말 중요한 건지 알 수가 없었다. 
이러한 사람들이 영향력있는 사람들이라 웃기지도 않는다...



3.인플루언서 강좌 굳이 들을필요 없다

인플루언서 굳이 들을 필요없다  ...

티스토리 네이버카페 운영하고 유튜브 까지 부업 겸업하면 마케팅 업체들은 이미 돈주고 사서 인플루언서 된다.


4. 인플루언서 비판하자면,  본래 인플목적은 분야별 검색키워드별로 영향력있는 창작자들을 먼저 보여주고 자신의 취향과 맞는 창작자들을 찾아 콘텐츠를 소비하는 검색 서비스였다.



본질과는 다르게 흘러갔다 언제쯤이면 한국은 경쟁사회에서 사라질까.
 
 이미 기존에 있던 파워블로거들은 이틈을 타 인플루언서가 되었으며, 티스토리 글도 발행하였고 네이버 글에 있던 글은 다 티스토리로 재 발행 하고 있으며 재탕 삼탕하는 것을 목격했다. 이들은 "네이버 인플루언서"라고 할 수 없다. 

유료강좌 만들어내서 돈벌고 키워드 글쓰고 상위권 독차지하는 인플루언서도 있었다.

즉, 발빠른 사람이 승리한 것이다.

...이제는 진짜로 인플 개편해야한다.

  일부 일반 블로거들 사이에선 양적인 글을 더 잘보이게 하라는 목소리도 있었다


 

인플VS법인

 
법인에게라도 혜택을 좀 주는게 어때?

가장 공신력 있는 블로그는 법인일까 인플일까...저 표시 어디서 많이 보았을 것이다 법인 블로그이다. 

인플루언서 표시보다, 나는 선한 영향력을 주는 사람들이 누구라고 생각한다면

당연히 법인에 한표를 준다 법인이 더 인플이라는 생각이 든다

네이버 지금 뭐하자는 거야??!!!!

인플은 개인이 운영하지만 법인은 대표마크라도 네이버에서 주잖아..
그런데 인플루언서는 딱 인플딱지만 있고

뭔가 싶다 오히려 진짜 네이버 인플 때문에 정신 사나워 졌다.

세상이 이상하게 돌아가고 좋은 창작자 우대 안한다..../_\ 지금 정신차려서 다행이지, 좋은 창작자를 우대해서 다행이지 안그랬으면 정말 네이버 떠나려고 했다. 

글 쓰면서 먹튀많이 당해봤기에 썼고 인플 사라져버리길 기도한다.

인플루언서 검색 서비스 도입 때문에, 일반인은 무시당하는 네이버 블로그였다..

인플루언서, 정말 글을 엄청 전문적으로 쓰는 것도 아닌데 ...
인플이 너무 먹고있다는 기분도 들었다.. ㅠㅠ


 

마무리

 

네이버 인플이 아니더라도, 알아서 글 보고 싶은 사람은 글 본다. ..전문적인 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검색 서비스 최신순 이용해서 다 섯칭해서 찾아서 본다..
 
제발 정신 차렸으면 좋겠다

네이버팀에서 인플로 너무 순위조작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경쟁도 싫고 재밌게 블로그 운영하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