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의 시작은 빚 청산이다
재테크를 시작하는 청년들 A 씨(28)는 다음 달 입사를 앞둔 예비 직장인입니다. 친구들보다 취업이 늦었다는 생각에 저축과 재테크로 그들과의 경제력 격차를 줄이려는 의지가 강합니다. 재테크 서적과 온라인 동영상을 늘 가까이하며 공부해왔습니다. A 씨의 월간 예상 소득은 세후 약 220만 원, 연간 기타 소득은 300만 원가량이며, 월급의 절반은 저축(청약 10만 원)과 재테크(연금저축펀드 30만 원, 주식투자 70만 원)에 쓸 계획이랍니다.
연금저축펀드에 연간 400만원을 납입해 연말정산 공제로 연 66만 원의 추가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저축만으로는 목돈을 만들기 어렵고 아직 어리기 때문에 주식 같은 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높게 잡으려 합니다. 단기매매보다는 우량주 위주로 방망이를 길게 잡는 투자에 나설 계획입니다. 신용카드는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 등 각종 혜택을 누리기 위해, 혹은 비상시 사용할 목적으로 1장만 발급받고 소비는 체크카드 위주로 하려 합니다.. 갚아야 할 학자금 대출금은 3000만 원인데, 금리가 낮아 부담스럽지는 않습니다. 목돈 마련을 위해 대출금 상환보다는 투자가 우선순위로 뒀다. 보장성 보험료는 부모님이 당분간 납입해주기로 했습니다. 직장생활 3년 후 결혼할 예정이며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집에서 나와 독립할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소득의 절반을 저축이나 투자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은 바람직하다고"평가
명확한 재무목표 없이 금융상품을 선택하거나 지출규모를 고려하지 않으면 자산증식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신용카드는 언제든지 발급받을 수 있어 미리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포인트 등을 위해 사용하지만 이로 인해 소비가 늘거나 충동구매할 여지가 있어 당장 발급받지 않을 것을 권했습니다. 향후 소득이 늘 경우 저축, 투자를 무조건 늘리기보다는 지출을 적절하게 조정해 꾸준히 재무목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하였습니다.
명확한 재무목표 없이 금융상품을 선택하거나 지출규모를 고려하지 않으면 자산증식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신용카드는 언제든지 발급받을 수 있어 미리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포인트 등을 위해 사용하지만 이로 인해 소비가 늘거나 충동구매할 여지가 있어 당장 발급받지 않을 것을 권했습니다.
향후 소득이 늘 경우 저축, 투자를 무조건 늘리기보다는 지출을 적절하게 조정해 꾸준히 재무목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하였습니다.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룡대, 부실급식 제보는 사실로 확인되다. (0) | 2021.05.18 |
---|---|
중국 발사체 잔해 어디로 갔을까? (0) | 2021.05.09 |
일자리가 늘은 제주 관광객이 급증하다. (0) | 2021.05.08 |
밥 굶는 아이 없도록.. 엄마의 밥상 (0) | 2021.01.17 |
3차 재난지원금 1월 1일 준다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