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커피가 때로는 좋을 수도 안 좋을 수도 있다.
여러분은 커피를 언제 즐겨 드시나요? 저는 주로,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마십니다. 커피를 아침에 잠을 깨기 위하여 마시는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커피가 일부 암이나 당뇨 등의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장 질환이 있거나 카페인 성분에 민감한 사람들은 기피해야할 식품 중 하나입니다.
커피를 어떻게 마시느냐도 건강에 중요합니다. 뜨거운 커피를 자주 마시는 습관은 식도암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복에 마시는 커피는 좋지 못하다 하여 공복에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의학전문가들에 따르면 음식물이 통과하는 식도는 잘 늘어나는 특성을 가졌기 때문에 암이 발병해도 초기 증상을 느끼지 못할 때가 대부분입니다. 이는 대부분, 평소 식습관으로 관리가 중요합니다.
커피 식도암에 대하여 |
식도암의 문제는 커피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뜨거운 오뎅 국물이나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김치찌개, 좀처럼 식지 않는 돌솥용기 삼계탕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이런 음식을 매일, 그것도 하루 2~3번 섭취하는 일은 드뭅니다. 반면 커피는 일상에서 자주 마십니다. 이미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지난 2016년 보고서를 통해 ‘뜨거운 커피’가 식도암 확률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고, IARC 연구팀은 “뜨거운 음료를 자주 마시면 식도에 온열화상을 입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 식도암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며 뜨거운 음료를 일상적으로 자주 마시는 나라는 식도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힌바가 있습니다. 다만 “식도암 위험은 말 그대로 ‘온도’ 때문”이라며 “음료 자체 의 탓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커피에 대한 또다른 흥미로운 연구 |
지난 2019년에도 ‘국제암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에 뜨거운 차를 마시면 식도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논문이 게재된바 있습니다. 5만 여명을 10년간 추적조사한 이 연구에서는 60도 이상의 차를 하루에 700㎖ 이상 마시는 사람은 60도 미만의 차를 하루 700㎖ 미만으로 마시는 사람에 비해 식도암 위험이 90% 증가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온도는 60도가 기준입니다. 즉 ‘뜨거운’을 ‘따뜻한’ 차로 바꾸기만 해도 식도암 위험은 크게 줄어듭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종류와 관계없이 ‘65도 이상’으로 제공되는 뜨거운 음료를 발암물질로 분류합니다. 이는 ‘뜨겁다’를 ‘시원하다’고 표현하면서 뜨거운 음식을 잘 먹는 한국인이 주의깊게 살펴볼 부분입니다. 김이 나는 대부분의 음식과 차는 이 60도를 넘기기 쉽습니다. 식탁에 막 올려진 된장찌개의 표면온도는 70도, 삼계탕의 온도는 82도 정도입니다. 커피전문점에서 건네받은 ‘핫 아메리카노’는 보통 80도~85도 정도입니다. ‘따뜻한’ 아메리카노를 주문했으나 ‘뜨거운’ 아메리카노를 건네받은 셈입니다.
식도암을 떨어뜨리는 방법 |
식도암의 위험을 크게 떨어뜨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커피를 받은 후 7~10분간 식힌 뒤 천천히 마시면 됩니다.. 주문을 할 때 ‘미지근하게’ 또는 ‘너무 뜨겁지 않게’라고 미리 요청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효능과 부작용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에 민감한 사람 (0) | 2021.11.28 |
---|---|
혹시 나도 시간 강박증인가 (0) | 2021.09.29 |
배탈이 났을 때 피해야할 음식 (0) | 2021.08.06 |
뇌졸중의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1.06.29 |
면역력에 좋은 음식 10가지 (0) | 2021.06.17 |